
동작구 지역주택조합 설립인가 못 받았는데 재산명시신청 가능할까 이번 시간에는 동작구지역주택조합 측의 기망행위로 인해 재산명시신청 절차를 통해 탈퇴 및 납입금 환불에 성공한 사례에 대해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우선 기망행위란 무엇일까요?상품의 선전·광고에 다소의 과장이나 허위가 수반되는 것은 그것이 일반 상거래의 관행과 신의칙에 비추어 시인될 수 있는 한 기망성이 결여되나, 거래의 중요한 사항에 관하여 구체적 사실을 신의성실의 의무에 비추어 비난받을 정도의 방법으로 허위로 고지한 경우에는 기망행위에 해당합니다.(대법원 2009. 4. 23. 선고 2009다1313 판결 참조)이제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의뢰인들은 2020년, 서울시 동작구 소재의 지역주택조합에 주택형과 동호수를 지정해 ..

오늘은 부동산소송전문변호사와 함께 조합 측의 기망행위를 귀책사유로 들어서 재산명시/신청, 감치재판절차 통해 탈퇴, 환불에 성공한 사례를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우선 기망행위에 대한 판례부터 살펴보겠습니다.상품의 선전·광고에 다소의 과장이나 허위가 수반되는 것은 그것이 일반 상거래의 관행과 신의칙에 비추어 시인될 수 있는 한 기망성이 결여되나, 거래의 중요한 사항에 관하여 구체적 사실을 신의성실의 의무에 비추어 비난받을 정도의 방법으로 허위로 고지한 경우에는 기망행위에 해당합니다.(대법원 2009. 4. 23. 선고 2009다1313 판결 참조) ▶ 사례 소개의뢰인들은 2020년, 서울시 동작구 소재의 지역주택조합에 주택형과 동호수를 지정해 분담금을 각각 8천만 원, 7천만 원 정도를 납입하며 조합원 ..

이혼 소송 중 다툼이 되는 쟁점에는 이혼 여부, 위자료, 재산분할, 미성년 자녀에 대한 친권 및 양육권, 양육비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재산분할은 그 결과에 따라 이혼 후 삶의 질이 달라지는 만큼 가장 치열하게 다툼이 있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이혼 소송에서 상대방에 대하여 재산분할 청구했다고 하여 그 자체로 재산이 확보되는 것은 아닙니다. 만약 이혼 소송 중 상대방이 자신의 명의로 된 부부 공동재산을 몰래 처분하거나 재산은닉 하는 경우, 최악의 상황에는 판결에서 재산분할을 인정받더라도 상대방이 재산분할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강제집행을 할 상대방 명의의 재산이 없어 실질적으로 재산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혼 시 재산을 분할하려고 하면 5:5의 비율로 정확히 나누어지는 것이 아니..
- Total
- Today
- Yesterday
- 토지수용보상금
- 지역주택조합조합원자격
- 토지보상금
- 사유지무단점유
- 지주택조합원탈퇴
- 지역주택조합탈퇴환불
- 지역주택조합사업계획승인
- 지역주택조합문제점
- 도시자연공원구역
- 주위토지통행권
- 장기미집행공원
- 도시자연공원구역해제
- 지역주택조합아파트
- 도시자연공원
- 보상금증액
- 기획부동산사기
- 기획부동산사기수법
- 점유취득시효완성
- 도시공원일몰제
- 부동산전문법무법인
- 토지소유권이전등기
- 기획부동산피해
- 토지보상절차
- 부동산전문변호사
- 토지점유취득시효
- 토지경계침범
- 공유물분할
- 지역주택조합소송
- 오피스텔분양계약해지
- 안심보장증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