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주택조합 아파트 사업이 정비 사업 중 최고 난도로 꼽히는 이유는 토지주가 사업주체가 되는 재건축, 재개발과 달리 조합원들이 자금을 모아 직접 토지를 사들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사업 발의 자체는 예정 조합원 20명과 15% 이상의 토지, 80% 이상의 사용승낙서만으로 가능하지만, 실제 사업에 나서기 위해선 전체 토지의 95%를 매입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사업 구조로 인해 사업 자체의 리스크도 높은 편인데요. 당초 예상보다 조합원 모집률이 저조할 경우 사업비 부족으로 토지 매입 진행도 늦어지고 결국 지역주택조합 토지권원확보율을 충족하지 못해 사업이 무산될 가능성이 적지 않습니다. 또 사업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에 미리 분양가나 공사비 등을 결정할 수도 없고 이로 인해 추후 분담금이 터무니없이 높아..
카테고리 없음
2023. 12. 1. 14:46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장기미집행공원
- 방문판매등에관한법률
- 지역주택조합문제점
- 도시공원일몰제
- 도시자연공원구역
- 기획부동산사기수법
- 도시자연공원
- 기획부동산피해
- 지역주택조합소송
- 기획부동산사기
- 토지경계침범
- 토지수용보상금
- 계약금반환
- 토지보상금
- 지역주택조합조합원자격
- 주위토지통행권
- 부동산전문법무법인
- 토지점유취득시효
- 지역주택조합탈퇴환불
- 공유물분할
- 안심보장증서
- 토지보상절차
- 점유취득시효완성
- 사유지무단점유
- 보상금증액
- 지주택조합원탈퇴
- 도시자연공원구역해제
- 부동산전문변호사
- 오피스텔분양계약해지
- 지역주택조합아파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