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지하상가의 임차인, 전차인들이 불법으로 제정된 인천지하상가조례로 인해 경제적 위기에 처했습니다. 2002년 만들어진 인천시 조례가 상위법 위반으로 판결 난 뒤 투자한 금액을 모두 잃을 처지에 빠진 것인데요. 임차인들은 나가지 않으면 강제집행될 위기라고 합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해서 어떤 상황인지, 임차인 전차인 보상받을 수 있는 방법은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례부터 소개해 드리자면 노후 대비를 위해 3억여 만 원으로 부평역 지하상가를 매입한 A씨는 전 재산을 잃을 위기에 놓였습니다. 계약 당시 인천시의 양도·양수·전대가 가능하다는 말을 믿고 전 재산을 투자했지만 대법원 판례에 따라 불법으로 결론이 났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노년의 나이에 직접 장사를 하던가 3억여 만 원을 포기해야 ..
카테고리 없음
2023. 10. 20. 10:46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도시자연공원
- 지역주택조합소송
- 부동산전문법무법인
- 토지보상금
- 안심보장증서
- 지역주택조합사업계획승인
- 점유취득시효완성
- 지역주택조합탈퇴환불
- 기획부동산사기
- 보상금증액
- 토지소유권이전등기
- 토지수용보상금
- 장기미집행공원
- 부동산전문변호사
- 공유물분할
- 토지점유취득시효
- 기획부동산사기수법
- 지역주택조합아파트
- 지역주택조합문제점
- 도시공원일몰제
- 기획부동산피해
- 지주택조합원탈퇴
- 토지경계침범
- 사유지무단점유
- 오피스텔분양계약해지
- 도시자연공원구역해제
- 주위토지통행권
- 지역주택조합조합원자격
- 토지보상절차
- 도시자연공원구역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