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자주점유 타주점유에 따른 토지무단점유대처방법은?

 

남의 땅 위에 내 건물의 일부가 들어서 있다면
내 땅이 아님을 알면서 점유한 경우 '점유취득시효' 인정되지 않아

 

토지의 경계를 침범해 남의 땅 위에 내 건물의 일부가 들어선 경우, 20년이 경과하면 해당 토지에 대해 점유취득시효를 이유로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을까요?

우리 대법원은 점유자가 점유 개시 당시에 소유권 취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법률행위 기타 법률요건이 없이 그와 같은 법률요건이 없다는 사실을 잘 알면서 타인 소유의 부동산을 무단점유한 것임이 입증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점유자는 타인의 소유권을 배척하고 점유할 의사를 갖고 있지 않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이로써 소유의 의사가 있는 점유라는 추정은 깨졌다고 할 것(대법원 1997.8.21. 선고 95다28625)이라고 하면서, 악의의 무단점유 즉 내 땅이 아님을 잘 알면서 경계를 침범하고 점유한 경우에는 타주점유로서 점유취득시효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보고 있습니다.

 

 

 

자주점유 타주점유 관련 사례는?

A씨는 포천에 위치한 한 임야에 관해 2019년 협의분할에 의한 상속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습니다. 해당 토지는 1971년 구 '임야소유권 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의해 A씨의 부친이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친 땅이었는데, 부친이 사망한 이후 이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있음을 알게 됐습니다.

A씨의 땅과 인접한 곳에 이웃인 B씨가 건물을 신축해 사용하고 있었는데, B씨가 건물을 신축하고 사용하고 있던 천막시설과 담장 경계가 A씨의 토지 일부를 침범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A씨는 B씨에게 이 부분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는데, B씨는 적반하장격으로 20년 이상 사용하고 있었다며 점유취득시효를 주장하며 소유권이전등기 소를 제기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양 측의 입장은?

점유자는 민법 제197조에 따라 소유의 의사로 선의, 평온 및 공연한 점유로 추정 받기 때문에 이러한 추정을 깨고 점유자의 소유권 취득을 막으려면 본래의 부동산 소유자가 타주점유임을 증명해야 하는데 B씨는 이를 이용했습니다. ​즉, 자신은 자주점유가 추정되며 경계를 침범한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고 주장한 것입니다.

이에 대해 A씨는 B씨 건물의 건축물현황도나 토지이용계획도에는 이 사건 경계침범의 천막 및 담장 부분이 표시돼 있지 않았고, 위법한 증개축으로 시정지시를 받은 사실을 비춰봤을 때 B씨는 해당 천막과 담장은 경계를 넘어 설치된다는 것을 이 과정에서 알고 있었을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법원의 판결은 어땠을까?

이에 대해 법원은 B씨의 담장 경계의 점유 부분 면적은 87㎡로 통상 있을 수 있는 시공상의 착오 정도를 넘어 상당한 정도에 이르고 있었고, 건축물현황도나 토지이용계획도에 따라 볼지라도 B시는 자신이 점유한 부분이 A씨의 토지 일부라는 사실을 점유 개시 당시부터 알고 있었던 타주점유라고 봄이 타당하다고 봤습니다.

이는 침범 면적이 통상 있을 수 있는 시공상의 착오 정도를 넘어 상당한 정도에까지 이르는 경우에는 당해 건물의 건축주는 자신의 건물이 인접 토지를 침범해 건축된다는 사실을 건축 당시에 알고 있었다고 보는 것이 상당하다고 할 것이고, 이 경우 그 침범으로 인한 인접 토지의 점유는 권원의 성질상 소유의 의사가 있는 점유라고 할 수 없다는 우리 법원의 판결 태도에 따른 것이었습니다.(대법원 1997.1.24. 선고 96다41335 판결, 대법원 1998.11.10. 선고 98다32878 판결, 대법원 1999.5.25. 선고 98다62046 판결 등 참조)

 

 

 

토지무단점유 대처방법은?

 

이처럼 자주점유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점유권원의 성질에 따라 소유의의사가 있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소유의 의사가 없는 점유는 어떤 경우일까?

▶ 임대차계약에 의한 점유

▶ 토지 매도로 인도 의무가 있는 매도인의 점유

▶ 명의수탁자의 점유

▶ 인접 토지 일부를 매수·취득했는데 착오로 타인의 토지 부분을 공부상 면적을 상당히 초과해 점유한 경우

▶ 점유개시 당시 소유권 취득의 원인이 되는 법률행위 및 요건이 없음을 알면서도 타인의 부동산을 점유한 경우

▶ 처분 권한이 없는 자로부터 이를 알고도 취득한 경우

▶ 법률행위가 무효임을 알고도 그 행위를 통해 취득 및 점유한 경우

 

 

자주점유 타주점유에 있어서 소유의 의사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사안에 따라 다양할 수 있습니다.

관련 계약의 무효나 취소, 해지나 해제된 사실과 이에 대한 통지를 확인할 수 있는 계약 해지 약정서나 내용증명 통지서 등의 서류, 그리고 매도를 청구하거나 차임을 협상하는 등 점유자 측에서 스스로 진정한 소유자로 생각했다면 취하지 않았을 행위, 이외에도 점유를 개시할 당시 무상 대여 약정처럼 점유의 바탕이 된 구체적 내용이 담긴 관련 자료를 포함, 증언과 대화 기록, 사실조회 신청을 통해 확보한 자료 등이 활용될 수 있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타주점유로 인정된 사례와 함께 소유의의사가 없는 경우들을 살펴보았는데요. 점유취득시효 분쟁은 경제적으로 가치가 큰 부동산을 새롭게 취득하거나 대가 없이 잃을 수도 있는 중대한 사안이기 때문에 철저한 법리 분석과 자료 확보를 토대로 전략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희 법무법인 제이앤케이(부동산변호사닷컴, (구) 법무법인명경서울)는 부동산, 건설 소송 전문 로펌으로 각각의 전담팀을 꾸려 운영하고 있으니 자주점유타주점유 따른 토지무단점유대처방법 관련해서 변호사 상담이 필요하다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상담문의↓↓↓

 

부동산변호사닷컴(법무법인 제이앤케이)

법무법인 제이앤케이(구. 명경서울)의 부동산 소송 전문 '부동산변호사닷컴' 입니다.

pf.kakao.com

참고기사↓↓↓

 

남의 땅 위에 내 건물의 일부가 들어서 있다면

<b>[김재윤 변호사의 부동산법]</b> 대법원은 점유자가 점유 개시 당시에 소유권 취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법률행위 기타 법률요건이 없이 그와 같은 법률요건이 없다는 사실을 잘 알면서 타인

www.junggi.co.kr